요즘에는 무조건 취업만이 해답인 시대가 아니에요. 예전에는 취업을 해서 직장을 다니는 것이 당연한 수순이었지만, 요즘에는 회사 이외에도 본인의 능력을 발휘해서 돈을 벌 수 있는 방법들이 굉장히 다양해졌죠. 대표적인 것이 바로 유튜브가 될 수 있는데요. 이처럼 본인이 할 수 있는 능력만 있다면 그것을 활용해서 직장이 아닌 곳에서도 충분히 돈을 벌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렇다 보니 자연스럽게 이 관련 직업들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기도 하는데요. 직장에 소속되지 않고 본인이 스스로 일을 하면서 돈을 버는 사람들을 크게는 프리랜서라고 칭하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프리랜서라고 말을 할 수 있는 직업 종류로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프리랜서를 꿈꾸는 분들이라면 잘 체크하면서 나도 과연 프리랜서를 할 수 있을지 알아보시길 바랄게요 :)
프리랜서란?
우선 프리랜서란 정확하게 무엇인지부터 아는 것이 필요하겠죠. 프리랜서는 일정한 소속없이 자유롭게 일을 하는 사람 혹은 자유로운 활동가라고 말을 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 정해진 고용 형태에 구애받지 않으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을 주로 하는 사람들을 일컫는 말인데요. 이것이 프리랜서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라고 할 수 있겠죠. 9 to 6, 주 5일제 등 고용 형태를 벗어나면서 자신이 하고 싶은 일로 돈을 버는 사람들. 어쩌면 직장인들에게는 가장 부러운 점일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일이 들쑥날쑥하고, 안정적이지 못하다는 점은 절대 간과해서는 안될 문제겠죠ㅠㅠ
프리랜서 종류
1. 디자이너
프리랜서를 고려하는 가장 많은 직군이 있는 직업. 바로 디자이너입니다. 디자이너는 대부분 컴퓨터 디자인 툴을 이용해서 일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그렇다보니 꼭 회사에 출근을 하는 회사원이 아니더라도 재택으로, 프리랜서로 많이 활동을 하곤 합니다. 게다가 누군가의 일을 도맡아서 해주는 디자이너들도 있지만, 본인만의 그림, 디자인으로 사업을 하거나 다양한 활동을 하는 디자이너도 많죠. 기본적으로 디자인 툴을 다룰 줄 알고 본인이 디자인 감각이 있는 것 같다! 하는 분들은 그 능력을 살려서 프리랜서 디자이너로 활동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
2. SNS 마케터, 콘텐츠 제작자
요즘 인터넷이나 SNS가 활성화가 되면서 가장 필요로 하는 직업으로 손꼽히는 것. 바로 SNS 마케터와 콘텐츠 제작자입니다. 마케팅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콘텐츠를 어떤 방식으로 어떻게 제작을 하느냐에 따라서 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가능성은 무궁무진해지는데요. 이 역시 매체를 활용해서 활동을 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프리랜서 직업 종류로 각광을 받는 추세입니다 :)
3. 통번역
위 두 직업 종류가 최근들어 각광을 받는 프리랜서 직업 종류라면 통번역은 예전부터 프리랜서로 각광을 받는 직업군이었어요. 최근에는 여러 기술들이 발달을 하면서 기계가 대신해서 통번역을 대신해주는 경우가 많이 생기며 인기가 주춤하긴 했지만, 여전히 통번역가가 필요한 곳은 꼭 있습니다. 영어부터 시작해서 일본어, 중국어, 스페인어 등 다양한 국가의 언어의 말을 통역, 번역해주는 통번역가. 과거부터 지금까지 꾸준한 인기를 끌고 있는 프리랜서 종류라고 할 수 있겠죠 :)
4. 강사
개개인의 능력치를 십분 발휘해서 그것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해주는 직업. 바로 강사입니다. 프리랜서 강사는 강연을 나가기도 하고, 다양한 활동을 하게 되는데요. 물론 강사라는 직업 안에 또 수많은 종류의 직업들이 나누어질 수 있어서 굉장히 광범위한 프리랜서 종류라고 말을 할 수도 있어요. 미술, 음악, 운동 등 모두 해당이 될 수 있죠. 강사 역시 어떠한 곳에 소속된 것이 아니라 여러 기관에 파트 타임으로 강의를 나가면서 가르치는 프리랜서로 많이들 선택을 하고 있어요 :)
'프리랜서 TIP > 프리랜서 살아남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꽁돈버는 법! 앱테크 TOP3 (0) | 2020.02.28 |
---|---|
크몽 등록방법 및 수수료! 프리랜서의 시작 (0) | 2020.02.26 |
프리랜서 임금체불 문제 대응 방법 (0) | 2020.02.24 |
프리랜서 4대보험?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0) | 2020.02.22 |
가계부 앱 어플 추천! 프리랜서, 직장인 수입관리 필수 (0) | 2020.02.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