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은 물론이고 돈을 버는 사람이라면 항상 궁금한게 있죠. 4대보험을 다 제외하고 내가 실질적으로 받는 월급은 얼마일까입니다. 일반적으로 연봉에는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이 모두 포함되어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실제로 받는 금액에 비해서 부풀려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요. 물론 4대보험은 나중에 내가 무슨 일이 생겼을 때 보장 받을 수 있는 돈이긴 하지만, 특별한 일 없는 평소에는 왠지 모르게 꽁돈이 나가는 느낌이 들기도 해서 아쉬운 게 사실이에요. 그렇다면 지금 내가 받는 월급의 연봉은 얼마인지, 반대로 이 정도의 연봉이면 실제로 월급은 얼마인지 궁금한 분들을 위해 2020년 연봉 실수령에 대해서 알려드리도록 할게요 :)
2020 연봉 실수령액
각 연봉별로 실제 받는 월급이 얼마인지 대충 가늠이 되시나요? 이 자료를 작성을 하면서 느낀 바로는... 아 저 밑에 부분까지 스크롤을 내릴 일이 있었으면 좋겠다... 라는 바람 뿐이었습니다. 대부분의 직장인, 프리랜서 분들이라면 거의 1페이지~2페이지 정도면 충분하죠(씁쓸). 돈 많이 버는 분들 어떻게 버시는지 궁금하네요ㅠ 여튼! 직장인 분들의 경우에는 대부분 위의 표에 따라서 연봉과 실수령액이 책정이 되고 있으니 별 이견이 없으실 거예요. 하지만 프리랜서에게 연봉은 조금 다른 개념이죠. 월급도 마찬가지구요.
프리랜서들은 4대보험을 다 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왜냐하면 해당사항이 없기 때문이죠(숙연). 일부 내는 부분 역시 직장인과는 조금 다른 비율로 계산을 하게 되는데요. 대부분의 직장은 회사와 본인 5:5 반반으로 나누어서 4대보험을 지불하게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프리랜서에게는 반을 내줄 직장은 존재하지 않죠. 그렇기 때문에 100% 본인이 직접 낼 수밖에 없습니다.
프리랜서에게 4대보험이란?
프리랜서의 경우에는 4대보험이 가입되지 않고 일을 할 때 그 때마다 3.3%라는 소득세를 납부하게 되어 있어요. 그리고 건강보험과 국민연금만 납부를 하면 되는데요. 이역시 연봉에 따라서 내는 금액이 조금씩 다르답니다. 건강보험의 경우에는 지역보험로로 적용이 되고, 국민연금은 지역가입자로 부담을 하게 되는데요. 이 두 가지 모두 100% 프리랜서가 다 내야하기 때문에 매달 버는 돈이 일정하지 않은 프리랜서에게는 이 비용이 생각보다 크게 다가올 수 있어요. 하지만 어쩔 수 없죠. 그치만 이를 위해 납부예외신청이라는 제도도 있으니 벌이가 너무 여유롭지 않은 달이라면 납부예외신청을 해서 공제를 받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영구적으로 내지 않아도 되는 것이 아니라 일시적인 제도이니 본인의 상황에 따라서 국민연금공단에 상담을 받아보는 것을 추천해드려요 :)
2020년 실수령액! 직장인과 프리랜서 모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잘 체크하면서 실제로 받는 금액은 얼마인지, 내가 번 돈에서 어떤 부분이 어떻게, 얼마나 빠져나가고 있는지 한 번씩은 체크해보는 것을 권해드려요! 물론 회사를 다니는 분들은 직장에 회계팀, 총무팀에서 알아서 잘 해주시겠지만, 그래도 얼마를 어떻게 벌고 있고, 어떤 부분이 어떻게 빠져나가는지는 알고 있는 것이 좋겠죠!
'프리랜서 TIP > 프리랜서 살아남기 :)'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랜서 4대보험?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0) | 2020.02.22 |
---|---|
가계부 앱 어플 추천! 프리랜서, 직장인 수입관리 필수 (0) | 2020.02.21 |
프리랜서에게 해외여행이란? 체크할 점! (0) | 2020.02.17 |
프리랜서를 위한 재테크 방법 꿀팁! (0) | 2020.02.15 |
크몽vs오투잡, 프리랜서 재능마켓 실제 이용 비교! (0) | 2020.02.13 |
댓글